
CJ대한통운(복합물류 부문)
기업정보
지원자 분석 📊
지원자 825명
- 학점 평균
- 3.7점
- 토익 평균
- 841점
학교
- 1위 인하대학교5.8%
- 2위 한국외국어대학교4%
- 3위 동국대학교3.4%
전공
- 1위 무역ㆍ유통학20.6%
- 2위 경영학20.4%
- 3위 전산학ㆍ컴퓨터공학10.1%
학점
토익
성별
최종 합격 후기 💪🏻
- 지거국 / 경제학 / 3.0 미만
합격 후기 내용:①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수치화 된 직무 역량, 회사에 대한 관심도. 남들과 조금 만 다른 디테일을 보여줄 수 있으면 문제 없습니다. ② 과제 및 면접, 인적성 시험을 어떻게 준비하셨나요? 행정고시 준비하다가 회사 지원한거라 인적성은 따로 준비한적 없습니다. 3년동안 PSAT과 LEET 같은 고난이도 시험 모의고사 매일 풀었었는데 인적성도 비슷하게 준비하면 되지않을까요? 저 정도 고난이도는 아니더라도 꾸준히 인적성에 시간 투자하면 좋은 결과 있을것 같습니다. 토의면접과 PT 면접은 따로 준비한적 없습니다. 그냥 매일 뉴스본게 다입니다. 평소에 친구들이랑 정치적 사안과 경제적 사안에 관한 논쟁과 토론을 즐긴게 다네요. 매일 헤드라인 뉴스 보는데 30분 씩 투자하는거 추천합니다. 직무/인성 면접은 뉴스 보도자료 회사/그룹 관련된거 1년치 전부 다 보고 경쟁사 관련 내용도 다봤습니다. 그리고 경쟁사 대비 부족한 점, 어떤식으로 개선해야되고 고객관점에서 개선 할 수 있는지 준비했었고, 면접에서 말씀드린게 크게 작용된거 같습니다. 그리고 회사 IR 자료 3년치랑 매출 영업이익 성장 관련 지표 내용 분석해갔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자소서 분석일것 같네요. 따로 면접 준비 스터디는 안했습니다. ③ 기억에 남는 면접 질문 및 답변은 무엇이었나요? Q1 : 이런 경험과 성과는 초임장교로써 해내는게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 않나? A1 : 굉장히 난이도 높고 힘든 과제였고, 이를 위해 세밀한 계획을 1주일 단위로 나눠서 작은 목표를 나눠서 실행했고 이룰 수 있었다. Q2 : 아무리 그래도 시간적으로 불가능 할 것같은데? A2: 그래서 퇴근하고 밥먹고 다시 사무실 가서 목표를 실행을 위해 자기 직전까지 야근을 했다. Q3: 그렇다 하더라도 초임장교 수준에서 말이 안되지않는가? A3: 직접 기획한것이기 때문에 상급자의 명확한 지시가 있었던 과업은 아니다. 하지만 목표를 세밀하게 세우고 시간적 데드라인을 좀더 쪼갠 이유는 시간적 제한을 두지 않는다면 실패한 시간에 대한 가치를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직책은 소위가 아닌 대위 직책을 부여받았고,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이 부족하다면 모든 걸 제쳐두고 능력을 갖추는게 옳기 때문에 모든 시간을 쏟아부었다. 지금 인턴 업무를 하면서도 능력을 갖추기 위해 3개월동안 퇴근하고도 12시까지 자격증 공부해서 3개 취득했다. 경영리더로써 성장한다면 회장님들이 줄곧 강조해온 재무 고도화에 필요한 역량이라고 판단하고 매일 시간을 쓰고있다. A4 : 그렇다면 이 모든걸 스스로 다 해낸것인가? Q4 : 어떤 조직이든 혼자 진행하는 업무는 없고 협업과 협조를 통해서 처리한다. 내 임무는 기획이었고, 기획안을 집행할 조직과 지원부서들과의 협조를 어떤식으로 이루어낼 지 의사소통을 하면서 진행했었다. 그리고 부족한 역량과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은 선배들과 교관, 그리고 최종 책임자인 지휘관들에게 물어보면서 부족한 부분들을 계속 보완했었다. 긴 시간 진행한 프로젝트였고 담당자는 나 혼자였지만 조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업무였던 만큼 모두가 만든것이라고 생각한다. ④ 나만의 최종합격 비결은 무엇인가요? 제일 중요한거, 자소서 읽어보고 1분 자기소개 직접 해보세요. 그리고 면접관 입장에서 뭘 궁금해 하고 왜 그랬는지 질문 할 것 같은 내용을 생각하세요. 모르겠으면 스터디원들에게, 친구에게 물어보세요. 그리고 그걸 본인이 면접장에서 어필할 본인에 관한 컨셉과 일관적인 답변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일관성과 투명성을 가지고 제 강점은 이겁니다 라고만 대답하면 됩니다. 그리고 뭔가 부족한 부분이 있을거에요. 지식, 분석력, 문제해결 능력, 결단력, 의사소통 능력 모든게 완벽한 사람이 없습니다. 그럼 그걸 인정하세요 면접장에서, 그리고 해결할 방법을 말씀드리면됩니다. 완벽한 사람처럼 포장하려했던 4번의 임원면접은 실패했고, 부족한 점을 인정한 면접은 합격했습니다. 면접에 프리 패스 하는사람은 몇명되지 않습니다. 95%는 부족한 사람일것이고, 같은 95%에 속하시면 조금의 다른 디테일만 보여주면 합격합니다. ⑤ 다른 취준생을 위한 응원의 한마디를 남겨주세요. 공백기 5년, 쓴 자소서 100개 이상, 임원 면접 탈락 10회 이상. 학점 보시면 알겠지만 악조건이란 악조건은 다 갖고 취업준비했습니다. 그래도 안되는 이유, 남들보다 부족한점을 생각하고 들어갔던 면접은 모조리 탈락했습니다. 할 수 있다는 마음 가짐과 되는 이유만을 생각하고 들어갔을 때 결국 합격했습니다. 5번 지원하는 동안 사실 자소서 내용은 크게 바뀐게 없고, 인턴 했었던 건 아무 질문도 안 들어온거 보면 제가 딱히 그 긴 시간 동안 더 나은 사람이되서 합격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여러분도 지금까지 가졌던 경험과 역량 능력을 어떻게 말씀드리고 성장 할 수 있는 그릇과 자신감만 보여주신다면 합격 할 수 있을 겁니다. 취업이 힘들지만 모두 힘내셨으면 합니다.
24년 하반기 합격 스펙